러시아에 의해 강제 이송되었던 한인들이
한인들이 러시아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863년이었다. 러시아의 한인들은 부지런하고 적응력이 강했다. 러시아는 여러 가지 정치적 이유를 내세워 이러한 한인들을 교묘히 이용했다. 연해주 일대의 미개간지를 개척하게 한 후 이 개간지를 빼앗고 1937년부터는 중앙아시아 미개간지로 한인들을 추방시켰다. 블라디보스톡에서 타슈겐트까지의 조선인 강제 이송이 그것이다. 그들은 부동산은 물론 동산, 가축 어느 한 가지도 가져갈 수 없었다. 40일 동안 기차를 타고 카자흐스탄의 집 한 채 없는 허허벌판에 버려진 한인들은 땅굴을 파고 민들레와 야생식물 등을 의지해서 허기진 배를 채웠다.
그리고 가지고 온 밀과 귀리와 완두콩을 심었다. 이 씨앗이 열매를 맺기 시작했을 때 카자흐스탄 사람들은 난생 처음 보는 농산물에 놀라워했다고 한다. 한인들이 가져간 한 줌의 씨앗은 당장 먹을 수 있는 한 자루의 식량보다 생명력 있는 장래를 약속해 주었다.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상이 각료회의를 중단시킨 이유가 고작? (0) | 2016.09.21 |
---|---|
밥을 굶을 정도로 가난한 개척교회 전도사의 억울한 마음에 (0) | 2016.09.21 |
죽기 위해 돌아간 로마의 레규러스 장군 (0) | 2016.09.21 |
우사인 볼트의 치명적인 약점 (0) | 2016.09.21 |
습관의 힘 ‘핵심 습관’ (0) | 2016.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