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드슨테일러(기도신앙인)
허드슨 테릴러처럼 주님의 손 안에서 유용했던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는 불굴의 믿음을 가진 사람이었으며, 중국 내지 선교회 창시자였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했다. `그는 참으로 복음 전파를 위해 자기 희생의 열정을 불사른 사람이었다. 이것은 과장이 아니다.` 중국 내지에 있는 무수한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해 주려는 그의 노력을 통해 테일러는 큰 믿음의 공과와 기도의 공과를 배웠다. 이는 결국 주님과 친밀한 교통을 갖게 했다. 윗치만 니는 테일러가 그리스도 안에 체험적으로 거하는 문제를 회복했다고 말했다.
<그의 출생은 아버지의 기도 응답>
제임스 허드슨 테일러는 1832년 영국 요크샤에서 출생했다. 그의 선조는 대각성의 축복 아래서 그리스도를 알게 되었으며, 그의 조부는 요한 웨슬레를 알았으며, 그의 아버지는 메소디스트 교사였다. 허드슨의 출생은 사실 중국에 복음을 전할 아들을 원한 그의 아버지의 기도 응답이었다!
젊은 시절에 허드슨은 웨슬레와 복음 전파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그의 마음은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으로 충만했다. 매일 아침 식사 후에 그의 아버지는 가족들에게 말씀을 읽어주고 그 의미를 설명해 주었다. 허드슨 역시 그의 아버지와 함깨 기도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 그는 종종 그의 아버지가 `수억의 인구가 있는, 강하고, 지적이며, 학구적인 사람들이 있으나` 대부분 복음을 듣지 못한 중국을 말하는 것을 들었다. 그러므로 젊은 허드슨이 그의 약한 건강에 대한 부모의 염려에도 불구하고 언젠가는 중국에 선교사로 가겠다고 선포한 것은 필연적이었다.
<그의 거듭남은 어머니의 기도 응답>
15세가 되었을 때 허드슨은 학교에 갔다. 거기에서 그는 점차로 주님에 대하여 무관심해졌다. 어느 날 저녁 그가 없는 동안에 그의 어머니는 방으로 들어가 문을 닫고 하나님이 허드슨의 구원에 대한 기도에 응답해 줄 때까지 하나님깨 간절히 기도하기 시작했다. 그날 저녁 8마일 떨어진 곳에서 허드슨은 `성취된 그리스도의 역사` 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읽었다. 그는 온 세상의 죄들을 위한 그리스도의 구속하는 죽음을 응시하기 시작했다. 후에 그는 이렇게 기술했다. `이와 더불어 기쁨의 확신은 성령에 의해 빛이 내 혼에 비추는 것처럼 떠올랐다. 그러므로 세상에서 할 일이라고는 아무 것도 없고 오직 무릎을 꿇고 이 구원자와 그분의 구원을 받아들이고 그분을 영원히 찬양하는 것뿐이다.` 허드슨은-후에 알았지만-그의 어머니가 자신을 위해 그날 저녁에 한 증보 기도를 통해 기도의 능력 안에서 견고한 믿는이가 되었다.
<전적인 믿음의 생활>
허드슨은 주님 안에서의 생활을 위해 자신을 준비했다. 그는 중국에 선교사로 가겠다는 어린 시절의 야망을 성취해야 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의학과 신학을 공부했으며, 1845년 스물 두 살에 상해로 가는 배를 탔다. 일단 거기에서 그는 중국어를 습득하고 중국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옷을 입고 머리를 다듬는 새로운 실행(서양 선교사이므로) 을 시작했다. 그는 누이에게 이렇게 편지를 했다. `나는 머리타래를 이발사에게 맡기고 머리를 까맣게 염색해 달라고 했다. 그리고는 중국 관습에 따라 자신의 머리털을 적합하게 땋았다(머리끈).` 몇 해가 지나는 동안 허드슨은 상하이와 스와토우와 닝포에서 수고를 했다. 오래 전부터 그는 그를 보낸 선교회로부터 오는 도움을 받지 않고 그보다는 그의 모든 필요를 공급하시도록 주님을 신뢰해야 한다는 깊은 확신이 있었다. `나는 자신이 전적으로 주님께 자신을 맡기고 다른 사람들을 돕는 통로로 사용되는 것 외에는 기타 다른 것이 되지 않으련다.` 한번은 그가 모든 물건들을 도둑맞았을 때 그 모든 손실을 감당하기 위해 뮬러로부터 돈을 받았다. 브릿톨에 있는 뮬러는 담대히 하나님을 신뢰하는 젊은 열성 있는 선교사에 대해 들었다. 비록 허드슨에게 많은 시련이 있었지만 그는 집으로 그의 주님과의 깊은 교제에 관해 편지를 썼다. 때때로 그는 우리가 기억하는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일기를 썼다. `오 예수를 이한 사랑의 병을 앓기 원해, 날마다 시간마다 그분의 임재를 사모하고 배고파하고 목말라하기 원해.` 그는 `예수는 너무나 사랑스럽고 너무나 귀하다! 그분과 비할 때 모든 것은 다 하찮다.` 고 했다.
1858년에 허드슨은 다른 중국 선교사의 딸인 마리아 다이어와 결혼했다. 그들은 1860년까지 함께 수고했다. 드디어 허드슨은 하나님이 모든 방면에서 문을 여셨다는 것을 느꼈다. 이 외에도 삼사십 명 쯤 되는 원주민 그리스도인 교회가 닝포에 일어났다.허드슨은 헌신적인 젊은 그리스도인들이 더 많이 중국에 와서 수고함으로 `개혁적인 사역` 에서 자유케 되기를 갈망한다는 것에 관해 집으로 편지를 썼다. 그러나 테일러의 건강은 너무나 악화되어 영국으로 돌아갈 지경에 이르렀다.
<부담과 기도>
허드슨은 6년이라는 긴 기간을 중국에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거의 깨닫지 못했다! 기다리는 동안 그는 날마다 그의 서재 벽에 있는 커다란 중국 지도를 들여다 보았다. 날이 갈수록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그이 부담은 더욱 커갔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기도는 `종종 부담에 눌려 있는 마음을 얼마든지 해방시킬 수 있는 유일한 근원이었다.` 그는 신약 성경을 닝포 방언으로 번역하는 일에 자신을 헌신했다. 그 후의 그의 말씀 연구를 통해 그는 중국의 선교사들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하나님께 `일꾼들을 밀어 넣어 주시기를 ` 간절히 기도해야 하며 다음으로는 `교회의 영적인 생활이 깊어지기를 추구하여` 사람들이 집에 머물러 있을 수 없게 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비록 적지 않은 선교사들이 그 동안에 보내심을 받았지만 테일러는 그의 건강이 또다시 악화될 정도로 여전히 중국에 대해 큰 부담이 있었다. 그는 이렇게 논평했다. `멸망하는 중국이 너무나도 내 마음과 생각을 사로잡아 낮에도 안식이 없었고 밤에는 잠을 잘 수 없었다...` 마침내 1865년에 그는 믿음으로 24명의 동역자를 하나님께 구했다. 이는 내륙 각 지역을 위해 두 명씩, 몽고리아를 위해 두 명씩이었다. 그는 또한 광범위한 사역의 인도직분에 응하기 위해 자신을 주님께 굴복시켰다. 후에 그와 아내는 중국의 영적인 필요와 요구라는 책을 써서 그리스도인들에게 그 광활한 땅에 있는 주님의 역사를 알렸다. 1866년 3월에 도움을 위한 테일러의 기도는 응답되었다. 열 여섯 명의 선교사들과 함깨 그들의 여행에 필요한 충분한 경비를 갖고 다시 한번 중국을 향해 배에 올랐다. 그로써 중국 내지 선교는 막을 열었다.
<사역의 효과>
그후 10년 동안 테일러와 그의 동역자들은 항초우와 닝포를 기초로 하여 그들의 수고를 내륙 지방으로 더 깊이 넓혀 갔다. 선교사들은 질병의 고통을 당했으며, 핍박과 죽음의 고통을 겪었다. 테일러는 그의 아내와 두 자녀를 잃었다. 1876년에 선교는 새로운 일군들에 의해 강화되어 그 후 2년 동안에 그들은 남서쪽으로는 버마와 티벳까지, 북서쪽으로는 몽고리아까지 침투해 들어갔다! 어떤이들은 이것을 현대 선교 연구 연보에서 견줄만한 것이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선교회는 그 증진이 견고해졌으며, 세기가 바뀌면서 205군데의 선교 본부로부터 온 849명의 선교사들이 일했으며, 약 125,000명의 중국인들이 그리스도인이 되었다!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그분 안에 거함>
1894년에 테일러는 회고록을 썼다. 이 소책자는 그의 어린시절과 중국에서의 사역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는 또한 아가서의 연구서인 연합과 교제라는 책을 썼다. 이 책에서 테일러는 그리스도 안에 거함에 대한 그의 지식과 체험을 포도나무와의 연합 안에 있는 가지로 계시한다(요15). 그는 그리스도안에 거하는 것이 영적인 열매 맺음의 참된 근원이며, 하나님의 위대한 목적은 단지 복음을 영접함으로 거듭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의 `만유 안에서 만유` 가 되려 하신다는 것을 보았다(고전15 : 28). 주님 안에 있는 깊은 생활은 그가 인용한 심오한 찬송가에 반영되어 있다.
얻지 않고 잃은 것이 생명의 분량 나타내니 마신 것 아니요. 쏟은 포도주라네.
사랑의 격렬함은 사랑의 희생을 견디니 가장 고통 많은 각 줄 것 가장 많다네
테일러는 이렇게 결론 짓는다.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리스도 안에 거하는 것, 무엇이 견고하지 않는가? 평강, 온전한 평강, 안식, 항구적인 안식, 우리의 모든 기도에 대한 응답 우리의 모든 대적들 위에 승리, 정결하고 거룩한 생활, 끊임없이 증가하는 열매 맺음, 이 모든 것은 다 그리스도 안에 거함의 기쁜 결과이다.` 테일러가 그리스도 안에 거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에 관해 홀든(J.S. Holden)은 이렇게 말한다. `만일에 테일러의 말이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가능성과 행복함을 가리키는 것이었다면 그의 온 생애는 실제적인 체험으로 그것을 선포했다. 그는 다른 사람, 심지어는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켜진 그분과 결혼한 사람처럼 살았으며, 그는 그 연합의 결과로 하나님께 열매를 맺었다.`
<박해와 회복의 기초>
1900년 중국 내지 선교회는 의화단 사건으로 인해 엄청난 박해를 받았다. 56명의 선교사와 23명의 선교사 자녀들이 순교했으며, 수백의 중국인 그리스도인들 역시 그들의 믿음을 위해 죽임을 당했다. 그러나 사역은 여전히 존속했다. 허드슨은 호수 남단 지역에 있는 창샤에서-마지막 사람이 문을 열도록-그의 일을 계속했다. 그는 1905년에 어떤 동료에게 이러한 말을 한 후에 갑자기 죽었다. `모든 것을 하나님께 기도로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우리에게 있는 놀라운 특권이다. 그렇지 않은가?` 이것은 테일러가 죽기 2년 전에 중국 후초우에서 태어난 윗치만 니를 통한 주님의 회복의 역사 안에서 진보를 위한 단계를 마련하나 것은 의심할 바 없이 허드슨 테일러의 기도와 사역이었다.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사인 볼트의 치명적인 약점 (0) | 2016.09.21 |
---|---|
습관의 힘 ‘핵심 습관’ (0) | 2016.09.17 |
벤자민 프랭클린의 13가지 약속 (0) | 2016.09.16 |
왕과 신하의 약속 (0) | 2016.09.16 |
엄청 못생긴 여자 (0) | 2016.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