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는 ‘갑’ 목사는 ‘을’ | ||||||
| ||||||
그 중 마음이 쓰이는 분이 윤 집사이다. 지난 주 목요일에 그는 고구마와 고추를 수확한다고 했다. 그가 부탁하기 전에 내가 먼저 승용차로 집까지 수확물들을 운반해 주겠다고 했다. 그 집사님의 집에서 밭까지는 십 리 정도 되는 거리이다. 그런데 그 날 손님들이 들이 닥친 데다 교회 텃밭 고구마를 캐다 보니 약속시간을 놓치고 말았다. 좀 늦더라도 운반해 줄 요량으로 몇 번이나 전화를 했지만 받지를 않았다. 그날 밤 늦게 통화가 되었는데 목소리가 많이 뒤틀려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아니나 다를까 주일 아침 전화를 하니 교회 그만 나가기로 했다며 전화를 끊었다. 눈물이 울컥 나오려 했다. 예배를 앞두고 그의 밭으로 갔다. 윤 집사님이 막 일을 시작하려고 준비 중이었다. 그에게서 무엇 때문에 교회를 그만 나오려 하는지 물었다. 그는 목사님이 되어 약속을 안 지키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또 헌금 송으로 부르는 찬송가 50장 ‘내게 있는 모든 것을 아낌없이 드리네~'를 다른 것으로 바꾸면 좋겠다는 주문도 해 왔다. 헌금을 은근히 강요하는 것 같아 싫다는 것이다. 나는 지난 목요일 약속 어긴 것을 고개 숙여 사과했다. 전화를 했는데 안 받았다는 얘기는 꺼내 보지도 못했다. 헌금 송은 당장 바꾸겠다고 약속했다. 내 말을 듣고 있던 윤 집사님이 순간적으로 감정이 올라 목사님 속 썩인 것 같아 죄송하다며 사과를 해 왔다. 나는 울먹이며 그의 손을 붙잡고 간절히 감사기도를 드렸다. 그야말로 큰 파도가 한 번 쓸고 지나간 느낌이었다. 윤 집사님과 생각보다 긴 시간을 대화하는 동안에 성도들로부터 전화가 쇄도했다. 왜 데리러 오지 않느냐는 성화 전화였다. 이런 연유로 주일 예배가 제 시각에 시작하지를 못했다. 그런데 설교가 끝나고 봉헌 기도를 마칠 때였다. 이 권사님이 화난 표정을 지으며 교회 문을 박차고 나갔다. 아내가 따라 나가고 밖에서 주고 받는 말소리가 크고(권사님) 작게(아내) 들려왔다. 아내가 내게 조용히 말했다. “이 권사님이 대단히 화가 나셨어요. 교회에 안 나오겠다고 하셔요.” 교회에 나오지 않은 권사님 두 분은 명단이 올랐는데, 정작 교회에 나와 헌금한 자신은 빠졌다는 것이 이유였다. 지지난 주 헌금한 것을 착각하신 것 같다고 말씀 드려도 통하지 않고, 두 권사님은 지난 주일 예배에 나오신 거라고 아무리 설명해도 소용이 없었다고 한다. 아닌 것을 우길 때는 뾰족한 수가 없다. 자신의 주장이 옳을 때는 목사님이 실수했으니 더 이상 교회 나오지 않겠다고 하고, 또 자신의 생각이 틀렸을 경우엔 기분 나빠 교회 안 나오겠다고 한다. 연세 드신 대부분의 성도들이 그렇다. 이래도 문제 저래도 문제이다. 예배당에서 잠시 기도한 뒤 권사님 댁을 찾아갔다. 권사님은 어디 가셨는지 보이지 않고 큰 아들 부부가 우리를 맞았다. 이 들도 오랜만에 어머님을 뵈러 왔다고 했다. 미안한 마음을 갖고 아내는 주뼛주뼛하다가 권사님이 예배도 끝나기 전 화를 내며 나간 전후 상황을 아들 부부에게 이야기했다. 옆에 있던 며느리가 “요즘 와서 어머니가 그런 실수를 자주 하신다”며 “치매기가 좀 있는 것 같으니 목사님이 이해하시라”고 했다. 농촌교회에서 많지 않은 성도들을 섬기시는 목사님 내외분의 어려움을 십분 안다고도 했다. 나는 나의 왜소한 목회자 됨을 탄식하며 터벅터벅 교회로 돌아왔다. 나는 왜 이것 밖에 하지 못할까. |
'목회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회 상징 신촌성결교회, 글로벌 시대 선도하길 (0) | 2015.11.07 |
---|---|
기성, 한교연 대표회장 후보로 조일래 목사 추천 (0) | 2015.11.07 |
12세 텍사스 기독교 여학생, 수업 중 “하나님은 신화” 주장한 교사와 맞서 싸워 (0) | 2015.10.30 |
국정 교과서 찬성 선봉장 박명수 교수 (0) | 2015.10.26 |
나답과 아비후 ― 불에 타죽은 제사장들 (0) | 201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