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피아노가 없어서 음악공부를 잘 할 수 없으니 피아노를 한 대 사주십시오
어머니, 피아노가 없어서 음악공부를 잘 할 수 없으니 피아노를 한 대 사주십시오
일제시대 이흥렬(李興烈)이라는 청년이 있었습니다.
일본에 음악공부를 하러 갔는데 피아노가 없어 공부가 잘되지 않자
어머니께 편지를 썼습니다.
“어머니, 피아노가 없어서 음악공부를 잘 할 수 없으니 피아노를 한 대 사주십시오.”
그러나 어머니는 혼자의 몸으로 아들 뒷바라지를 하고 있어
피아노를 살만한 돈을 마련하기가 무척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머니는 산에 가서 솔방울을 모아 팔기 시작했습니다.
수 십 만개, 수백만 개의 솔방울을 주워서 팔아
당시 돈으로 400원을 만들어 아들에게 부쳤습니다.
이흥렬은 그 돈으로 피아노를 사서 음악을 공부했습니다.
그는 어머니의 은혜와 사랑에 마음 깊이 감동했습니다.
그래서 제일 처음 작곡한 노래가 <어머니의 마음> 이라는 노래입니다.
“낳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기를 제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진자리 마른자리 갈아 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 하시네
하늘아래 그 무엇이 넓다 하리요 어머님의 희생은 가 이 없어라."
어려선 안고 업고 얼러주시고 자라선 문 기대어 기다리는 맘
앓을 사 그릇될 사 자식 생각에 고우시던 이마 위엔 주름이 가득
땅 위에 그 무엇이 높다 하리요 어머님의 정성은 지극하여라.
사람의 마음속엔 온 가지 소원 어머님의 마음속엔 오직 한 가지
아낌없이 일생을 자식 위하여 살과 뼈를 깎아서 바치는 마음
인간의 그 무엇이 거룩 하리요 어머님의 사랑은 그지없어라.”